본문 바로가기

record

리카르도 오드노포소프(Ricardo Odnoposoff) - Violin

리카르도 오드노포소프(Ricardo Odnoposoff)

국내 클래식 LP음반 매니아들에게 뛰어난 실력에 비해 외면 당하고 있는 바이올니스트를 살펴보면 앙드레 불프, 루이스 카우프만, 토시 스피바코프스키, 막스 로스탈, 그리고 지금 소개하는 리카르도 오드노포소프(Ricardo Odnoposoff)일 것이다. 이들은 20세기 초반을 화려하게 수놓았던 명바이올니스트들이었지만 마이너 레이블에서 음반이 발매되었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알려질 기회가 별로 없었다.

리카르도 오드노포소프(Ricardo Odnoposoff)는 1914년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태어나 5살의 나이에 고국에서 첫 데뷔를 했을 정도로 신동으로 인정받았었다. 특히 전설적인 바이올린 교육자인 레오폴드 아우어와 칼 플레쉬에게 사사한 후 1931년 베를린에서 불과 17살의 나이에 에리히 클라이버와 협연하여 극찬을 받기도 하였다. 1932년 그는 비엔나 국제 음악 콩쿠르에 참여하여 1위에 입상하였고, 1937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아자이 콩쿠르에서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와 함께 공동으로 1위를 나누어 가졌다.

콩쿠르 입상이후 그는 독일과 유럽 전역을 순회하면서 리사이틀리스트로서 협연자로서 당대의 거장인 펠릭스 바인가르트너와 발터 퀘흐등과 협연하였다. 20살에 리카르도는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임명되어 전쟁기간중 활동하였으며, 이 시기에 녹음활동도 하게 된다. 전후 미국 시민권을 회득하였고, 1952년 핀란드 헬싱키 음악 페스티발 시벨리우스 주간에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하였다. 또한 1960년 파리 음악원 협회 음악 페스티발에 참여하여 칼 뮌싱거의 지휘로 멘델스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였다. 1960년대 후반 라카르도는 슈트가르트 음악원과 빈 음악 아카데미의 바이올린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레이너 구슈마흘(Rainer Kusmaul)과 같은 뛰어난 제자들을 양성하였으며, 1970년부터 세계 여러 바이올린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특히 1962년 제1회 서울국제음악제에 하프의 명인 자바레타, 바리톤 게하르트 허쉬등과 한국 방문하여 브람스,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여 국내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었다.

리카르도 오드노포소프의 음반들
BEETHOVEN :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G major, Op. 30 No. 3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inor Op. 23
Ricardo Odnoposoff (violin) Otto Herz (piano)
ALLEGRO ALG 3047 / USA / LP

SCHUBERT Violin Sonata,Op.162/Rondo/Fantasie
Ricardo Odnoposoff (violin) / E. Mrazek(piano)
ETERNA 826254 / GERMANY / LP

MENDELSSOHN Violin Concerto Op. 64,
PAGANINI Violin Concerto No. 1 Op. 6
Ricardo Odnoposoff (violin) / Gianfranco Rivoli(Conductor)
Symphony Orchestra of the Geneva Radio
Concert Hall MMS-2205 / FRANCE / LP

ITALIENISCHE MEISTER DES 18 - Torelli/Vitali/Vivaldi/Geminiani,etc
Ricardo Odnoposoff (violin) / Leo Rostal(Cello)/Heinz Whhrle(Orgel)/Benjamin Oren(Cembalo)
MUSICAL MASTERPIECE SOCIETY MMS2080 / FRANCE / LP

LALO Symphonie Espagnole
Ricardo Odnoposoff(Violin) / Walter Goehr(Conductor)
Utrecht Symphony
MMS 14 / FRANCE / 10"LP